안녕하세요 정형외과 김선생입니다.
요즘 아이들과 함께 실외활동을 많이 하게 되면서
우리 아이가 다치치 않을까 하는
불안감이 늘어나실텐데요
오늘은 야외 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흔히 일어나는
소아낙상사고 골절 응급대처법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목차
1. 소아낙상사고 골절 원인과 증상
2. 소아골절 종류
3. 소아낙상사고 골절 응급대처법
소아낙상사고 골절 원인과 증상
소아골절은 대부분 놀이나 스포츠 활동 시
직접적으로 신체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많이 발생되는데요
닫히는 문(집현관문,방문,자동차문)등에
의한 충격이나 낙상사고, 교통사고로도
많이 발생됩니다.
일반적으로 골절이 됬다면
그 부위에 통증이나 부종, 압통, 근육 경직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요
이 때 뼈 모양이나 위치가 변하면서
뼈 윤곽이 변형되고 피부 밖에
점상 출혈이 생기기도 합니다.
신경손상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신경마비, 혈액순환장애, 저림증상, 감각이상 등의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소아골절 종류
손목골절
: 손목에 골절이 심한 경우, 뼈가 분쇄되어
팔 모양에 변형이 생길 수 있습니다.
팔꿈치골절
: 소아의 손과 팔이 펼쳐진 채로
낙상사고가 일어났을 경우 발생합니다.
쇄골 골절
: 쇄골골절은 골절 부위 양쪽 뼈의 전위가 심하지 않고,
주위 조직의 손상 없이 쇄골만 손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손가락,발가락 골절
: 놀이나 스포츠 활동시 직접적인 충격으로 인해
흔히 손가락,발가락 골절이 생길 수 있습니다.
골절 각도가 크거나, 회전이 있는 경우
여러 합병증이 올 수 있으니 주의해야합니다.
종아리뼈 골절
: 외상에 의해 경골과 비골이 골절되는 경우 입니다.
경골과 비골이 함께 골절될 수 도 있고,
하나만 골절될 수 도 있습니다.
대퇴골 골절
: 허벅지뼈를 말하는 대퇴골은
소아낙상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흔한 골절입니다.
발목 골절
: 넘어지거나 발목이 접질리면서 골절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넘어진 후 제대로 일어나지 못할 때는
발목 골절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소아낙상사고 골절 응급대처법
야외 활동시 낙상사고나 다른 이유로
소아골절이 의심된다면 빠르게 응급실에 가는게
우선순위 이지만 당장 응급실에 방문할 수 없다면
적절한 응급처치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골절 사고가 발행했을 때 간혹 골절 부위를
원상태로 돌려놓기 위한 시도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러한 행동은
골절이 일어난 주변의 근육이나 혈관, 신경 등을
더욱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절대 해서는 안됩니다.
소아골절사고가 발생했을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다친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올린 상태에서
단단한 나무대 또는 종이 상자 등의 부목을 이용하여
골절부위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해야 하는데요
부목은 골절된 부위의 위아래 관절까지
보호할 수 있는 형태여야 하고
폭은 골절부위보다 넓은 것이 좋습니다.
소아골절 직후에는 대부분 그 부위가 부어오르고
열이 나게 되는데 이 때 냉찜질을 해주면
부러진 뼈 주변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감소시켜주고
골절 부위의 통증을 완화시켜줄 수 있습니다.
소아골절 부위에 피가 나는 경우
외부의 감염을 조심해야 하는데요
이 때 거즈가 아닌 일반 소독솜을 사용하게 되면
솜의 얇은 털들이 상처 부위에 붙어
추후 응급실에서 시행되는 처치를 어렵게 할 수 있고
비위생적인 솜에 의해 감염이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깨끗한 거즈나 천을 이용하여 지혈을 해야 합니다.
간혹 가루와 같은 지혈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상처 부위의 염증을 더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소아낙상사고가 발생했을 때
무엇보다 제일 중요한 것은 아이가 놀라지 않도록
침착하게 대응하고 상태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혹여나 아무런 증상이 없더라도
가까운 응급센터에 방문하셔서 전문의의 진단을
꼭 받아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정형외과(관절척추클리닉·통증클리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덩이처럼 굳은 어깨 통증 석회성건염 원인 증상 살펴봐요 (0) | 2024.07.05 |
---|---|
허리근육통 욱씬거리는 증상 해결하려면 (0) | 2024.06.24 |
허리 통증으로 정형외과를 찾고 계시다면 (0) | 2024.04.30 |
무릎 통증 해결하는 방법 (0) | 2024.04.23 |
지속되는 목 통증으로 괴롭다면 (0) | 2024.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