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면마비, 구안와사 초기 대응이 중요해요
반갑습니다. 이비인후과 신선생입니다:-D
안면마비의 경우, 갑작스럽게 오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뇌졸중이 아닌가 하고 걱정하시는
상황이 많습니다.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생기는 뇌졸중과는 달리 안면마비는 벨씨 마비라고
안면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의 마비를 말합니다.
대부분 양호한 경과를 거쳐 치료 없이도 저절로
좋아지는 반면, 구안와사는 입과 눈의 주변 근육들이
마비되어 한쪽으로 비뚤어지는 질환인데요. 구안와사는
일반적으로 말초성 안면신경마비인지,
중추성 안면신경마비인지 구분하여 치료를 진행합니다.
오늘은 이러한 안면마비와 구안와사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구안와사는 흔히 입이 돌아가는 증상이
대부분입니다. 이러한 증상은 사람들이
차가운 곳에서 잠이 들어 입이 돌아갔다고
하시는데, 따뜻한 곳에서 잠이 들어도
입은 돌아갈 수 있어요. 자고 일어났는데,
어느날 갑자기 입이 돌아가 놀랬는 경험을
하신 분들도 계실 것입니다. 음식물이나
물과 음료를 섭취할 때에도 흘러내리고,
얼굴 한쪽은 느낌이나 감각이 무뎌져
느낌이 없으실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구안와사는
심한 경우에는 눈도 잘 감기지 않으며, 이마의
주름 또한 만들기 어려워집니다.
안면의 신경이 마비되어 발생되는 구안와사,
안면의 신경은 안면의 근육을 움직이는 신경과
동시에 눈물과 침의 분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미각과 귀, 청각도
담당을 하고 있는 복잡한 신경이라고 할 수 있어요.
구안와사의 원인으로는 대부분 말초성
안면신경마비, 벨마비에 속하는 특발성
안면신경마비입니다. 뚜렷한 원인을 찾을 수
없으나 바이러스 감염 혹은 신경염에 의한
마비로 추측이 됩니다.
진단으로는 말초성 안면신경마비에 의한 것이지만
구안와사의 증상이 발현되면 가장 먼저 중추성
안면신경마비가 아닌지 살펴봐야 합니다. 중추성
안면신경마비인 경우에는 전두근이 마비되지 않아
양측의 이마에 주름을 잡는 것이 가능하며, 양쪽의
눈을 감는 것 또한 가능합니다. 그러나 말초성
안면신경마비라면 이마의 주름을 잡을 수 없으며
눈을 감을 때 한쪽 눈이 완전히 감기지 않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CT 혹은 MRI 등으로
검사하여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안면마비 또한 정확한 원인을 찾아내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뇌졸중과 뇌종양 같은
질환이 안면마비의 근본적인 원인이 될 수
있기에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씀 드릴 수 있어요.
이러한 안면마비는 눈과 코, 볼, 입 등
다양하게 마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구안와사와 달리 증상이 미비하여
눈치채지 못하여 내원을 늦게 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마비의 증상이 있었으나, 모르고
방치하게 되어 입이나 코가 삐뚤어지고 나서야
증상이 육안으로 확인이 되어 내원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때 조금이라도 빨리 내원을
해주셔야 초기에 대응을 할 수 있어요.
안면마비와 구안와사의 공통적인 특징은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는 질환입니다.
그렇기에 무엇보다 초기에 대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얼마나 빠르고, 얼마나
정확하게 검진하여 대응을 하느냐에 후유증
여부가 결정될 수도 있습니다.
초기대응이 늦어져 후유증으로 남게된다면
돌아간 코와 입, 눈으로 인하여 식사 하시는
데에는 물론이며, 안구 건조증과 다른
호흡기 질환 등으로 일상 가운데 많은
불편함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안면마비, 구안와사 두 질병의 특성상,
정확하게 진단을 하고, 그에 맞게 빠르고
바르게 진료를 해야 2차 합병증이나
후유증이 남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더욱 꼼꼼하게 파악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초기에 작은 증상이라도
발견이 된다면 하루라도 빨리 내원하여
대응을 하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이비인후과(비염·기관지·코골이·편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잦은 감기로 인하여 고민이 되신다면 (0) | 2024.05.03 |
---|---|
비염과 코막힘으로 괴로우신가요 (0) | 2024.04.26 |
난청은 초기에 치료해야 해요 (0) | 2024.04.08 |
갑상선 관리 신경 써야 해요 (0) | 2024.04.01 |
수면장애 견디기 힘들다면 (0) | 2024.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