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관절척추클리닉·통증클리닉..)

코뼈 골절 증상 응급 대처방법

건강을 알려주는 박사 2024. 11. 26. 10:59
반응형

 

운동을 하다가 또는 낙상 사고로 인한 

코뼈 골절은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 중 하나이지만, 

 

코뼈가 골절되면 심한 통증과 함께 

출혈, 부종이 동반되며, 호흡 곤란까지 발생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적절한 응급처치가 꼭 필요합니다. 

1. 코뼈 골절


코뼈 골절은 외부의 강한 충격으로 인해 

비골이 부러지거나 금이 가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주로 정면에서 가해지는 직접적인 충격이나 

측면 충돌로 인해 발생하며,

스포츠 활동, 교통사고, 낙상 등이 주요 원인이 됩니다. 

골절의 유형은 단순 골절부터 복합 골절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코의 변형과 함께 호흡 기능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코뼈 골절 주요 증상


외관상으로는 코가 한쪽으로 휘어지거나 

비뚤어진 모습을 보일 수 있으며, 

코 주변으로 심한 멍이 들게 됩니다. 

 

기능적으로는 호흡 곤란이 발생할 수 있고, 

코막힘 현상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심한 부종 동반)

또한 지속적인 코피가 발생할 수 있으며, 

눈 주변까지 부종이 퍼져 양쪽 눈 주위가 검게 변하는

 '너구리눈'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후각 기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응급 처치 방법


코뼈가 골절되었을 때 먼저 해야 할 것은 

출혈을 멈추는 것입니다. 

 

환자를 앉은 자세로 유지하고 

머리를 약간 앞으로 숙이도록 하여 

피가 목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해야 합니다. 

 

코를 직접 압박하지 말고, 

차가운 얼음팩을 이용하여 

부종을 가라앉히도록 합니다. 

이때 얼음팩은 직접 피부에 닿지 않도록 

수건으로 감싸서 사용해야 합니다. 

 

지속적인 출혈이나 심한 통증이 있다면 

즉시 응급실을 방문해야 하며, 

이송 시에는 추가 충격을 받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의식이 혼미하거나 어지러움을 호소하는 경우에는 

두부 손상의 가능성도 있으므로 

전문적인 검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4. 회복과 예방


코뼈 골절의 회복 기간은 3~4주 정도가 소요되며, 

회복기간 동안에는 코 부위에 충격이 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더불어 과도한 운동이나 신체 활동도 피해야 하며,

코를 세게 풀거나 만지는 것도 삼가야 합니다. 

잠을 잘 때는 베개를 높게 하여 

머리를 약간 높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부종 감소에 도움이 됩니다. 

이상으로 코뼈 골절 증상 응급 대처방법에 

대한 내용을 다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11.20 - [이비인후과(비염·기관지·코골이·편도...)] - 코딱지 자주 생기는 이유 예방법

 

코딱지 자주 생기는 이유 예방법

사계절 내내 코에 생기는 이물질 코딱지! 실내 환경의 특성상 건조한 공기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서 코딱지가 자주 생기는 문제가 더욱 빈번해지고 있는데요.  사실상 코딱지는

bline7.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