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발구분하는 방법과 관리 가이드
인체의 토대라고 할 수 있는 발은 우리 몸의 균형과 운동 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 중에서도 평발은 많은 사람들이 겪는 발 구조의 변형으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한 상태입니다.
평발은 단순히 미적인 문제를 넘어 보행에 영향을 미치고 다양한 신체적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평발을 구분하는 방법과 함께 평발을 가진 사람들을 위한 관리 가이드를 제공하여, 보다 건강한 발 관리에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1. 평발이란?
평발은 흔히 '편평족'이라고도 불리며, 발의 안쪽 아치(발바닥 중앙에 볼록하게 들어간 부분)가 정상보다 낮거나 거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정상적인 발은 지면과 닿지 않는 아치 부분이 있어 충격을 흡수하고 체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평발의 경우 아치가 낮아져 발바닥 전체가 지면에 닿게 되어, 마치 오리발 모양처럼 보이게 됩니다.
2. 평발 구분하는 방법
1) 육안 관찰법
- 맨발로 서서 발의 안쪽을 관찰합니다.
- 정상 발의 경우 발바닥 안쪽에 뚜렷한 아치가 보이지만, 평발은 아치가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2) 물기 테스트
- 발바닥에 물을 묻힌 후 마른 바닥에 서서 발자국을 남깁니다.
- 정상 발의 경우 발꿈치, 발볼, 발가락 부분이 연결되지 않은 발자국이 남지만 평발은 이 부분들이 모두 연결된 넓은 발자국이 남습니다.
3) 신발 관찰법
- 오래 신은 신발의 바닥면을 관찰합니다.
- 평발의 경우 신발 안쪽 면이 더 많이 닳는 경향이 있습니다.
4) 발꿈치 들기 테스트
- 발꿈치를 들어올릴 때 발의 안쪽 아치가 형성되는지 관찰합니다.
- 평발이 아닌 경우 아치가 뚜렷하게 형성되지만, 평발은 아치 형성이 미미하거나 없습니다.
3. 평발의 유형
1) 선천성 평발
태어날 떄부터 발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아치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 대부분 유아기에 나타나며,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교정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2) 후천성 평발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발의 인대나 근육이 약해져 아치가 무너진 상태를 말합니다. 과체중, 임신, 당뇨병, 관절염 등으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장시간 서있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에게서도 자주 나타납니다.
3) 유연성 평발과 강직성 평발
- 유연성 평발 : 무게를 싣지 않을 때는 아치가 형성되지만, 체중을 싫으면 아치가 사라지는 형태입니다.
- 강직성 평발 : 무게를 싣지 않아도 항상 아치가 없는 상태로, 더 심각한 형태의 평발입니다.
4. 평발로 인한 증상
1) 발과 발목의 통증
장시간 서 있거나 걸을 때 더욱 심해집니다.
2) 발의 피로감
평소보다 쉽게 발이 피로해지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3) 보행 패턴의 변화
발이 안쪽으로 기울어 지는 현상(과회내)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무릎, 고관절, 허리 통증
발의 문제가 상위 관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5) 발가락 변형
엄지발가락이 안쪽으로 휘는 무지외반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6) 신발의 불균형한 마모
신발 안쪽이 더 빨리 닿게 됩니다.
5. 평발 관리 가이드
1) 적절한 신발 선택
아치 지지가 잘되는 신발을 선택하는 것이 좋고 필요한 경우 맞춤 깔창을 사용합니다.
2) 발운동
- 발가락 수건 집기 : 수건을 발가락으로 집어 올리는 동작을 반복합니다.
- 발 롤링 : 테니스 공이나 얼음물을 채운 페트병을 발바닥으로 굴립니다.
- 발꿈치 들기 : 발꿈치를 들어 올렸다 내리는 동작을 반복합니다.
3) 체중 관리
과체중은 발에 더 큰 부담을 주므로,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4) 발 마사지
발바닥과 발 주변 근육을 주기적으로 마사지하여 혈액 순환을 촉진합니다.
5) 적절한 휴식
장시간 서 있거나 걸은 후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합니다.
6) 테이핑
의료 전문가의 지도하에 발 아치를 지지하는 테이핑을 할 수 있습니다.
평발은 완전한 치료보다는 적절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위에서 언급한 관리 방법들로 증상을 완화하고 일상생활에 큰 지장 없이 지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증상이 심하거나 지속될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개인에게 맞는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감사합니다!
2024.08.27 - [정형외과(관절척추클리닉·통증클리닉..)] - 섬유근육통 초기증상 대처방법
섬유근육통 초기증상 대처방법
30~50대에 주로 발병하는 섬유근육통은 만성적인 전신 통증과 피로감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입니다. 섬유근육통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종종 주변 사람들로부터 이해받지 못하고,
bline7.tistory.com
2024.08.09 - [정형외과(관절척추클리닉·통증클리닉..)] - 손가락마디통증의 원인 손가락질환 5가지
손가락마디통증의 원인 손가락질환 5가지
손가락은 일상생활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신체 부위 중 하나입니다. 물건을 집거나 글씨를 쓰고, 악기를 연주하는 등 다양한 활동에 손가락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bline7.tistory.com
2024.07.05 - [정형외과(관절척추클리닉·통증클리닉..)] - 돌덩이처럼 굳은 어깨 통증 석회성건염 원인 증상 살펴봐요
돌덩이처럼 굳은 어깨 통증 석회성건염 원인 증상 살펴봐요
안녕하세요 정형외과 전문의입니다. 돌덩이처럼 굳은 어깨 때문에 통증이 발생되어 급히 내원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석회성건염은 흔하게 발생될 수 있는 어깨질환으로 누
bline7.tistory.com
2024.06.24 - [정형외과(관절척추클리닉·통증클리닉..)] - 허리근육통 욱씬거리는 증상 해결하려면
허리근육통 욱씬거리는 증상 해결하려면
안녕하세요 정형외과 김선생입니다. 현대인들이 많이 겪고 있는 만성 질환 중 하나가 허리 근육통이라고 하는데요. 허리근육통은 허리디스크 초기단계와도 비슷해서 해당 통
bline7.tistory.com